문화체육관광부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 문화관광연구원은 2003년부터 2년마다 '문화 향수(享受, 어떤 것을 향유하고 누림) 실태조사'를 발표합니다. 이번 조사에 해당했던 작년 2018년 문화향수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전국 17개 시도(제주도, 세종시 포함) 거주 총 15세 이상 남녀 10,558명을 대상으로 1:1 가구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한 이번 실태조사는 만화나 웹툰과 직접적 연결이 된다기보다 대중이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방식, 가장 먼저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등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화향수실태조사 인포그래픽
한국인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꾸준히 증가해 2018년에는 81.5%에 달했습니다. 문화예술을 즐기는 비율이 그만큼 높아졌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문화예술 관람이 영화에 쏠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분야를 막론하고 그 비율이 2~5%정도씩 상승해 전반적인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문화 소비의 형태도 한가지 형태의 대중문화를 쫓기보다 다양한 형태로 분화중인 것으로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여전히 수도권 등 대도시 편중현상이 심한 가운데 읍, 면지역 문화예술활동도 소폭 증가해 격차가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지역편중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 소득별 문화활동 역시 저소득 가구일수록 문화활동 향유비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세대별로는 10대 후반부터 30대까지는 거의 대부분이 문화활동을 향유하고 있으며, 40대에 접어들면서는 조금씩 낮아져 60대와 70대에 이르면 절반 가까이가 문화생활 향유를 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소득 노년층이 향유할만한 문화가 적다는 결론에 도달해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들이 디지털 기반과 오프라인 행사 티켓 구매 역시 온라인 기반으로 옮겨가면서 접근 자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연관 링크>